부등식(inequality)

부등식(inequality)이란 말 그대로 부등식 기호 \leq를 포함하는 식을 말합니다. 때로 부등식은 등식보다 더 근본적인데요, 왜냐하면 많은 경우 등식(A=B)을 증명하기 위해서 양쪽 방향의 부등식(A\leq B, A\geq B)을 증명하기 때문입니다.

많이 사용되는 중요한 부등식 몇 개를 아래에 소개합니다.

  • 삼각 부등식(triangle inequality)

기하학에서 말하는 삼각 부등식은, 삼각형의 두 변의 길이의 합이 나머지 한 변의 길이보다 크다는 것입니다. 간단해 보이지만, 삼각 부등식은 수학에서 위상수학, 해석학, 선형 대수학 등 여러 분야에서 등장할 정도로 매우 중요합니다.

우선, 위상수학에서 거리 공간(metric space)을 정의할 때 거리 함수가 만족해야 하는 것 가운데 하나가 바로 아래와 같은 삼각 부등식입니다.

\displaystyle d(a,b)+d(b,c) \geq d(a,c)

또, 선형 대수에서 노름(norm)을 정의할 때, 만족되어야 하는 조건 가운데 하나 역시 아래와 같은 삼각 부등식입니다.

\displaystyle ||v+w||\leq ||v||+||w||

그리고 해석학에서도 삼각 부등식이 등장하곤 하는데, 이를테면 아래에 소개된 민코프스키 부등식(Minkowski inequality) 역시 삼각 부등식입니다.

  • 산술-기하 평균 부등식(inequality of arithmetic and geometric means)

아마 가장 유명한 부등식가운데 하나일 것입니다. 아래와 같이 산술 평균이 기하 평균보다 항상 크거나 같다는 부등식입니다.

\displaystyle \frac{x_1 + \cdots + x_n}{n}\geq \sqrt[n]{x_1\cdots x_n}

가장 근본적인 부등식 가운데 하나인 만큼 증명 방법도 수없이 많습니다. 가장 쉬운 방법 가운데 하나는 로그를 씌운 뒤 아래의 젠센 부등식을 이용하는 것입니다.

  • 젠센 부등식(Jensen’s inequality)

볼록 함수(convex function) f에 대해 아래와 같은 부등식이 성립합니다.

\displaystyle f\left(\frac{x_1+\cdots+x_n}{n}\right)\leq \frac{f(x_1)+\cdots+f(x_n)}{n}

오목 함수(concave function)에 대해서는 부등식의 방향이 반대로 됩니다.

Jensen

 

젠센 부등식의 증명은 쉽습니다. 오목 함수의 그래프 위에 점이 여러개 찍혀 있으면, 그 점들로 만들어지는 다각형을 생각할 수 있고, 그 다각형은 오목 함수의 그래프보다 위에 있을 것입니다. 그 다각형의 무게 중심이 그래프보다 위에 있음은 쉽게 알 수 있습니다. 위 부등식의 좌변은 그 무게 중심의 x 좌표에 해당하는 그래프의 높이이며, 우변은 그 무게 중심에서의 y좌표를 의미합니다. 즉, 다각형의 무게 중심이 그래프보다 위에 있다는 것이 이 부등식이 의미하는 바입니다.

젠센 부등식은 일반화하여 측도론(measure theory)과 확률론(probability theory)의 언어로 쓸 수도 있습니다. 확률론의 언어로, X가 확률 변수(random variable)고, \varphi가 볼록 함수일 때, 젠센 부등식은 아래와 같은 형태로 표현됩니다.

\displaystyle \varphi(\mathbb{E}[X])\leq \mathbb{E}[\varphi(X)]

  • 코시 슈바르츠 부등식(Cauchy-Schwarz inequality)

선형대수, 해석학, 확률론 등 다양한 분야에서 쓰이는 유명한 부등식입니다. 선형대수에서 쓰이는 버전이 가장 쉬운데, 아래와 같은 형태로 쓸 수 있습니다.

\displaystyle |\langle v,w\rangle| \leq ||v||\cdot||w||

즉, 두 벡터의 내적(inner product)은 두 벡터의 노름(norm)의 곱보다 작거나 같다는 것입니다. 증명은, wv에 수직한 성분과 평행한 성분으로 나누어 생각하면 쉽습니다.

해석학에서는, 위의 코시 슈바르츠 부등식을 힐베르트 공간(Hilbert space)에서 생각합니다. 그러면 L^2 함수 f, g에 대해 코시 슈바르츠 부등식은 아래와 같은 형태로 표현됩니다.

\displaystyle \left|\int f\bar{g} d\mu\right|^2 \leq \int |f|^2 d\mu \int |g|^2d\mu

  • 민코프스키 부등식(Minkowski inequality)

민코프스키 부등식은 쉽게 말해서 (1\leq p \leq \infty일 때) L^p 공간에서의 삼각 부등식입니다. 즉, 아래와 같이 표현할 수 있습니다.

\displaystyle ||f+g||_p \leq ||f||_p + ||g||_p

이 때, \displaystyle ||f||_p := \left(\int|f|^p d\mu\right)^{1/p}으로 정의되는데, 이 L^p 노름(norm)이 잘 정의된 노름이라는 것이 바로 민코프스키 부등식이 말해주는 것입니다.

  • 횔더 부등식(Hölder’s inequality)

횔더 부등식은 1/p+1/q=1p, q\in [1,\infty]에 대해 아래와 같은 부등식을 말합니다.

\displaystyle ||fg||_1 \leq ||f||_p||g||_q

횔더 부등식의 증명은, e^x가 볼록이라는 성질을 사용하여 젠센 부등식을 적용해 증명할 수 있습니다.

횔더 부등식의 한 가지 응용으로는, 행렬에 대한 횔더 부등식을 생각할 수 있다는 것입니다.

참고로, 뒤의 민코프스키 부등식이나 횔더 부등식은 적분의 형태로 표현되지만, 유한한 합에 대해서 역시 성립합니다. 왜냐하면 측도(measure)를 셈측도(counting measure)로 줄 수 있기 때문입니다.

Leave a comment